state of javascript 2024 리포트를 요약한 글입니다.
State of JavaScript 2024 조사에서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현재 사용하는 프레임워크에서 겪는 주요 문제점(Pain Points)에 대해 분석했습니다.
1️⃣ 번들 크기(Bundle Size) 문제
- 많은 프레임워크가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코드 크기가 커서 앱 로딩 속도를 저하시킴.
- React, Angular 같은 대형 프레임워크는 필요하지 않은 기능까지 포함될 가능성이 높음.
- 최근 경량 프레임워크(예: Svelte, SolidJS, Qwik)가 인기를 끄는 이유 중 하나.
💡 해결 방법:
✅ 트리 쉐이킹(Tree Shaking) 및 코드 스플리팅(Code Splitting) 적극 활용.
✅ Vite, esbuild 같은 경량 빌드 툴 사용.
✅ SSR(서버 사이드 렌더링) 활용해 초기 로딩 부담 완화.
2️⃣ 러닝 커브(Learning Curve) 문제
- 일부 프레임워크(특히 Angular)는 초보자가 접근하기 어렵고 학습 부담이 큼.
- React 역시 점점 API가 많아지면서 학습 난이도가 올라가는 추세.
- 반면, Svelte나 Alpine.js 같은 단순한 구조의 프레임워크는 상대적으로 배우기 쉬움.
💡 해결 방법:
✅ 프레임워크 공식 문서 + 커뮤니티 튜토리얼 적극 활용.
✅ 기존 기술과 유사한 개념을 가진 프레임워크를 선택해 적응 부담 최소화.
3️⃣ 상태 관리(State Management)의 복잡성
-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이 커질수록 상태 관리가 점점 어려워짐.
- React의 경우 기존 Redux에서 Recoil, Zustand 등 다양한 대체 라이브러리가 등장하며 혼란을 초래.
- Vue는 Pinia로 정리되었지만, Angular는 여전히 NgRx 같은 복잡한 솔루션이 필요.
💡 해결 방법:
✅ 작은 프로젝트 → Context API, Signals 같은 경량 상태 관리 활용.
✅ 대형 프로젝트 → Redux Toolkit, Zustand, Jotai 같은 최신 솔루션 고려.
4️⃣ 최적화(Performance Optimization) 문제
- React의 가상 DOM(Virtual DOM)은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되었지만, 많은 리렌더링이 발생할 경우 성능 저하 가능.
- Angular의 Change Detection은 기본적으로 무겁게 동작하여 성능 튜닝이 필수적.
- SolidJS, Qwik 같은 새로운 프레임워크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향으로 개발됨.
💡 해결 방법:
✅ React → useMemo, useCallback, React.memo 등을 적극 활용.
✅ Angular → OnPush 변경 감지 전략을 사용해 불필요한 렌더링 방지.
✅ Svelte, SolidJS → 프레임워크 자체에서 효율적인 렌더링 방식 제공.
5️⃣ 프레임워크 생태계와 업데이트 문제
- 일부 프레임워크는 업데이트가 너무 잦아 개발자가 지속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부담이 있음.
- React는 최근 Server Components 도입으로 기존 방식과의 차이가 커지면서 혼란을 초래.
- Angular는 꾸준한 업데이트가 있지만, 기존 코드와의 호환성이 문제.
- Vue는 비교적 안정적이지만, 일부 경우 2.x와 3.x 버전 차이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.
💡 해결 방법:
✅ LTS(Long Term Support) 버전을 사용해 업데이트 안정성 확보.
✅ 공식 가이드라인을 따르면서 점진적으로 최신 기술 적용.
📌 결론 – 프레임워크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점
✅ 번들 크기 → Svelte, Qwik, SolidJS 같은 경량 프레임워크 고려.
✅ 러닝 커브 → React/Vue는 접근성이 좋지만 Angular는 학습 부담 존재.
✅ 상태 관리 → Redux보다는 경량 상태 관리 솔루션(React Context, Zustand, Signals 등) 활용.
✅ 최적화 문제 → 불필요한 렌더링을 최소화하는 기법(React.memo, Angular OnPush 등) 적용.
✅ 업데이트 부담 → 안정적인 LTS 버전 사용 + 점진적 업데이트 전략 유지.
프론트엔드 개발은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, 기존 프레임워크의 단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음. 🚀
자신의 프로젝트 특성에 맞는 프레임워크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! 🎯
'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업들의 GPT 기반 AI 도입 현황 및 사례 연구 (1) | 2025.06.19 |
---|---|
2025년 개발자가 알아야 할 AI 툴 (0) | 2025.06.01 |
소통을 잘하는 개발자들의 습관 (0) | 2025.05.15 |
서버 사이드 렌더링(SSR) vs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(CSR) 비교 (2) | 2025.03.15 |
Next.js 알아보기: 개념부터 최신 기능까지 (0) | 2025.03.14 |